1. 서블릿(Servlet)
# 서버에서 웹페이지 등을 동적으로 생성하거나 데이터를 처리할 수행하기 위해 자바로 작성된 프로그램이다.
# Java코드 안에 HTML태그가 삽입되며 자바언어로 되어있다.
# 확장자는 java이다.
# 클라이언트 요청을 처리하고 그 결과를 다시 클라이언트에게 전송하는 자바프로그램이다.
# HTML 태그 및 자바스크립트는 클라이언트의 브라우져가 실행한다.
# JSP로 작성된 웹페이지는 서블릿 클래스로 컴파일된다.
# JSP는 서블릿 기반의 '서버 스크립트 기술'이다.
! JSP 와 비교
- JSP는 키워드가 태그화 되어 서블릿에 비해 배우기 쉽다.
- JSP는 자바코드를 <%%>태그 안에 처리해주어야 한다.
- JSP는 HTML처럼 태그를 사용하여 자바코드도 사용이 가능하다.
JSP는 JSP기술의 장점을 최대한 활용 할 수 있는 웹애플리케이션 구조에서 사용자에게 보여주는 프리젠테이션 층을 담당하고 Servlet은 Servlet기술의 장점을 최대한 활용 할 수 있는 사용자의 용청을 받아 분석하고 비지니스 층과 통신하여 처리하고 처리한 결과를 다시 사용자에게 응답하는 컨트롤러 층을 담당한다.
2. jsp 페이지 구성
# 지시자 : <%@page ................%>
# 스크립트 : <% .......자바코드..... %>
# 표현식 : 값 출력을 위해 태그 사이에 작성한다. <%= ...%>
1). 지시자 %@page import="java.util.calendar"%>
# 일단은 자바의 import부분이 들어간다고 알고있자!.
2). 스크립틀릿 <% %>
# <body> 태그의 스크립트부분을 보자. <% %> 안에 자바코드를 넣고 있는 모습을 볼 수 있다. 중요한부분은 system.out.println은 콘솔 출력일 뿐이지 웹페이지에 아무런 영향을 주지않는다. 내장객체 out.print를 통해서 선언 및 초기화없이 웹페이지에
내용을 출력할 수 있다.
3). 표현식 : <%= %>
# 자바의 값 출력을 위해서 태그 사이에 작성한다. 소스코드를 보면 쉽게 이해할 수 있다.
3. 지금까지 배운것을 통해 표만들기
1). 지시자를 통해 ArrayList를 import하고 있다.
2). body부분에 ArrayList 컬렉션 클래스를 스트립틀릿을 이용해서 자바코드를 넣어주고 있다.
3). 계속적으로 자바코드부분은 스트립틀릿을 이용하고 표안에들어가는 데이터부분에는 자바의 값 출력을 위해 표현식을 이용하는것을 확인할 수 있다.
'Foundation > - JSP' 카테고리의 다른 글
Session (0) | 2017.11.17 |
---|---|
ArrayList를 이용한 회원정보 출력 (1) | 2017.11.15 |
HTML - <form>, get, post 방식 (0) | 2017.11.15 |
html 기본 (0) | 2017.11.11 |
웹프로그래밍의 이해 (0) | 2017.11.09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