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Foundation/- JSP

웹프로그래밍의 이해

1. 클라이언트 / 서버 방식의 구조

- 클라이언트(웹 브라우저)가 특정 페이지를 웹 서버에 요청(request)

- 요청이들어오면 웹 서버가 처리 후 클라이언트에게 응답(Response)

- 동적으로 변화하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표시하기 위해서 개발 된 것이 CGI, ASP, PHP, JSP 등이 있다.

 

2. 웹 프로그래밍 언어의 종류

- CGI (Common Gateway Interface)

- ASP(Active Server Page)

- PHP

- JSP와 Servlet

# 자바 언어 기반으로 멀티쓰레딩(Multi Thread)에 의해 사용자 요구를 처리

# Servlet - 자바 코드에 의존적, JSP - 비교적 덜 의존적

# JSP와 Servlet은 같은 처리 구조를 가짐

 

3. JSP 및 서블릿의 개요 (나중에 이해해도 됨)

- 컨테이너 : # 컴포넌트들이 제공하는 각종서비스를 관리하는 런타임 환경 제공

     # 웹 컨테이너는 서블릿과 JSP에 대한 실행환경을 제공

- 서비스 API : # 실제로 사용하는 각종 서비스 환경 제공

 # JDBC: DataSource나 분산 트랙잭션 지원

 # XML(eXtensible Markup Language) : J2EE에 서 디플로이먼트 디스크립터를 작성하는 포맷

 # JavaMail - J2EE에서 JavaMail AIP 제공

 # JTA(Java Transaction API) - EJB 등과 같은 컴포넌트들에 대한 트랙잭션 관리를 자동화 해줄 수 잇는 스펙을 정의

 # JMS - 발생한 에러에 쓰러지지 않고 잘 견뎌낼 수 잇는 애플리케이션 메시지를 주고받을 수 있도록 해주는 표준적 API 제공 

 # JNDI(Java Naming and Directory Interface) 기업형의 네이밍과 디력토리 서비스(naming and directory service)에 대해 접근할 수 있도록 해주는 API

 

 

4. 개발 환경 Install

(1) Java SE (JDK) 다운로드 http://www.oracle.com

(2) Eclipse Neon 버젼 설치 http://www.eclipse.org

(3) Tomcat 설치 http://tomcat.apache.org

- Tomcat??

# 웹 컨테이너 : 웹 서버 및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의 최소 기능을 한다.

# 실제 서버 구축 시에는 웹 서버 및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 별도 설치를 한다.

 

(4) 자바 환경설정

1). JAVA EE --> Preferences -->  Server(Runtime Environment) --> add --> Apache Tomcat v8.5 --> Finish

2). 하단 Servers -- > Tomcat v8.5 Server -->next --> Finish

3). 해당 Server 에 생긴 Tomcat double 클릭 --> Port Name Http/1.1 --> PortNumber 9090

4). dynamic project --> webcontent --> html 파일 생성.

5). window ---> web browser ->> crome

6). Window --> Preferences --> General --> Workspace --> 하단 other UTF-8

7). Preferences --> Web --> CSS, HTML, JSP --> UTF-8

 

 

 

 

 

 

5. JSP 페이지 개요

- 형식

# HTML 태그 안에 JSP 스크립트 작성 --> 정적페이지 + 동적페이지

# <%@ page : 페이지 디렉티브 --> JSP 페이지가 웹 브라우저에 표시 될 경우에 필요한 사항 설정

# <%=%> : 표현식 --> 웹 브라우저에 출력할 내용 작성

# JSP 코드는 소스보기에서 실행 결과만 표시한다.

# 처리 로직을 JSP 코드로 작성시 노출되지 않는다.

 

 

6. JSP 페이지의 처리 과정

 

1). 사용자의 웹 브라우저에서 http://서버주소/a.jsp 와 같은 형태로 JSP 페이지를 요청한다.

2). 웹 서버는 요청한 해당 페이지를 JSP 컨테이너에 처리를 넘긴다.

3). 해당 JSP 파일이 처음 요청된 것이면 JSP 파일을 서블릿으로 파싱하고 이전에 요청되었던 페이지일 경우 6)단계로 넘어간다.

4). 클래스 파일로 컴파일(a_jsp.java 서블릿 파일은 a_jsp.class파일로 컴파일)

5). 클래스 파일은 메모리에 로딩되어 실행된다.

6) 실행결과는 다시 웹 서버에게 넘겨진다.

7) 웹 서버는 웹 브라우저가 인식할 수 있는 HTML 형태로 결과를 웹 브라우저에게 응답한다.

 

'Foundation > - JSP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Session  (0) 2017.11.17
ArrayList를 이용한 회원정보 출력  (1) 2017.11.15
HTML - <form>, get, post 방식  (0) 2017.11.15
서블릿(Servlet)  (0) 2017.11.14
html 기본  (0) 2017.11.11